웹 개발을 하다보면 서버를 종료 / 시작할일이 많은데, (핫스왑 기능을 사용중이지 않을 때)
가끔 해당포트(보통 8080)가 사용중이라는 오류메세지와 함께 서버가 시작되지않을 때가 있다.
예전에는 매번 명령어를 검색해서 8080포트를 종료해줬었는데, 최근들어서는 명령어를 외우게 되어서 행여나 까먹게 될까봐 따로 정리해놓으려고 한다.
먼저 네트워크 목록을 표시하는 명령어는 커맨드창을 시작하고 (윈도우즈키 + R를 누른 후 cmd를 검색)
커맨드창에 netstat -a -o를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화면이 나온다. (-a 는 모든연결 포트를 표시, -o는 PID(프로세스 아이디)를 표시하라는 명령어다.)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충돌메세지에 표시되는 포트번호를 찾아서... taskkill /f /pid pid번호 형식으로 명령어를 날려주면..
해당 포트를 가진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인텔리제이를 사용하면서는 HTTP포트충돌 메세지를 본 기억이 없지만 이클립스의 경우 가끔 있었던 것 같아서 정리해보았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관리사 2급 프로토콜 문제 정리 (0) | 2019.12.04 |
---|